[Java] Refactoring - 중복코드 (Duplicated Code)
똑같은 코드 구조가 여러 곳에서 반복된다면 하나로 통합하여 더 나은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똑같은 코드 구조가 여러 곳에서 반복된다면 하나로 통합하여 더 나은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본론으로 들어가기에 앞서 추상클래스와 인터페이스의 차이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고 가자.
이번 장에서는 String , StringBuffer 및 StringBuilder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코드를 명료하게 설명하는 요소 중 하나는 이름이다.
람다 표현식은 다음과 같이 사용 된다.
좋은 API 문서는 성공적인 Software Project를 위한 많은 요소들 중 하나이다.
요즘 많은 곳에서 REST API 작성을 했다. ` REST API를 따른다.` 이런 글 들을 많이 보고 있었고 나 역시도 실전 프로젝트 당시에는 잘 모르고 사용했던 것 같다. 이번 글에서 알아보도록 하려고 한다.
Effective Java 시리즈의 경우 Effective Java책과 inflearn의 백기선님 강의를 토대로 공부하고 정리하여 올리는 글임을 밝힙니다.
함수형 인터페이스의 조건
그동안 Spring을 사용해 개발하면서 == 과 equals()의 큰 차이점을 모르는 채로 equals() 만 사용을 해왔었다. 이 부분에 대해 정확히 개념을 잡아보려고 한다.
좋은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
Polymorphism (다형성)
테스트 코드를 작성할 때 특정 변수 값에 따른 테스트 코드를 짜야할 경우가 있다.
스프링 빈의 라이프 사이클은 다음과 같다.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 스프링 빈 생성 => 의존관계 주입 => 초기화 콜백 => 사용 => 소멸 전 콜백 => 스프링 종료
DI(의존관계 주입)
IOC란 무엇인가?
이번 장에서는 가비아에서 Domain을 구입 한 후 EC2 서버와 연동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해당 장은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이번 장에서는 AWS 설정을 하는 것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이제까지 내가 쌓아왔던 Spring에 대한 지식들을 하나씩 ToyProject에 녹여보고자, 새로 공부하는 것들을 프로젝트에 기능을 추가해 보고자 시작하게 되었다.
이번 장에서는 Nginx에 대해 전반적으로 알아보려고 한다.
OSI 7계층은 네트워크 통신을 표준화한 모델로, 통신 시스템을 7단계로 나누어 설명한 것이다. 하지만 OSI 모델이 실무에서 사용하기에 복잡해 실제 인터넷에서는 이를 단순화 한 TCP/IP 4계층이 사용되고 있다.
git blog를 시작하게 된 이유